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각장애 등급판정기준


일단 청력은 방치할수록 소리자극이 뇌에 전달되지못하여 청각인지가 저하되고 보청기 착용효과 또한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청각장애 등급판정기준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인근병원 중 청각장애진단이 가능한 병원을 먼저 알아본후 2011년 4월 이후로 ABR(뇌간반응유발)검사 결과지를 첨부해야하기 때문에 ABR검사기가 없는 일반 이비인후과나 준종합병원에서도 장애진단을 하지못하는 병원이 있습니다. 그래서 사전에 전화로 청각장애진단 가능여부와, 비용, 기간등을 상세히 문의한 뒤 병원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청각장애 등급판정기준 보안서류 추가없이 등급이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장애등급검사를 진행후 추가보안서류 요청시 이전 진료기록이 없는경우 난청이 고착된 의사소견서를 제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경우 등급이 나오시는경우도 있으시며 보류판정이나 등급판정이 제외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청각장애 등급판정기준


​주기적으로 관리점검 청능훈련을 받아야하기때문에 가까운곳 먼저 찾앙보시구요 보청기착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서 긍정적인 효과를 내기위해서는 빠른 진행이 중요할것 같습니다.


오늘은 청각장애 등급판정기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